용인시정연구원(원장 정원영)은 ‘특례시 문화여건 비교분석을 통한 용인특례시 문화정책 방향(YRI FOCUS & ISSUE 제61호)’에서 지역 내 균형 있는 문화기반시설 공급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코로나19로 인해 4개 특례시(용인·수원·고양·창원)의 문화예술 관람률이 전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용인특례시는 영화 분야를 제외한 모든 문화예술 분야의 관람 경험률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용인특례시는 문화예술 관람 경험률은 높은 반면 관람 빈도는 낮아 단발적인 소비가 일어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원인으로 문화기반시설 부족을 지적하여 근본적인 해결방안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용인특례시 주요 문화예술시설 현황(사진제공=용인시정연구원)
출처: 경기문화재단 공식 홈페이지(https://www.ggcf.kr), 용인관광 공식 홈페이지(https://www.yongin.go.kr),
용인문화재단 공식 홈페이지(https://www.yicf.or.kr) 내 자료를 바탕으로 재구성
4대 특례시 2021년 사회조사 결과를 비교해보면, 용인특례시의 여가활동에 대한 만족 수준이 4대 특례시 중에서 가장 낮고 불만족하고 있는 이유로는 인프라 부족(37.5%)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문화여가시설의 접근성 및 충분 수준에 대해서도 만족(14.5%)과 불만족(31.1%)간의 격차가 16.6%p로 나타나 고양(6.1%p), 수원(5.3%p)에 비해 약 3배를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출처: 4대 특례시 2021년 사회조사 통계자료를 참고하여 재작성
각 특례시 별로 문화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용인특례시의 주요 문화시설 수는 다른 특례시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면적 대비 문화기반시설 현황에서는 하위권을 점하였으며, 산림율이 50%를 넘는 용인특례시의 지리적 특성상 문화기반시설에 대한 물리적 접근성의 결여가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이같이 문화기반시설에 대한 접근성의 결여가 해소되지 않을 경우, 용인특례시민의 문화예술 소비는 서울 및 인근 수도권으로 유출될 수 있으며, 이는 중·장기적으로 용인특례시의 문화예술산업의 경쟁력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이에 보고서는 “문화여가시설을 공급하여 지역 내에서 문화 수요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더 나아가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라 하였으며, 용인특례시민의 문화적 소비에 대한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문화기반시설의 확충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용인특례시민의 문화예술 소비증진을 위한 문화기반시설 확충 방안으로는 공공 문화시설로서 시립미술관을 설립하여 사립미술관과의 조화를 도모하고 풍요로운 전시예술 환경을 제공하여 전시예술 분야에 대한 용인특례시민의 수요를 충족시켜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지역 균형 발전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문화예술시설이 열악한 동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유관 시설들의 확충을 통해 거점 문화예술시설 운영방안이 제고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용인시정연구원 홈페이지(www.yongin.re.kr)의 YRI Focus&Issue 61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