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현 의원, 생성형 인공지능 순기능 최대화와 역기능 최소화를 위한 논의의 장 마련(사진제공=경기도의회)
박상현 경기도의회 기획재정위원회 의원(더불어민주당, 부천8)이 좌장을 맡은 「경기도정의 생성형 인공지능 적극 도입 방안 및 사례」 정책토론회가 27일(목) 경기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본 토론회는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2024 경기도 정책토론대축제’의 일환으로 개최되었다.
이날 토론회는 김성하 경기연구원 AI혁신정책센터장이 발표했으며, 토론자로는 최민 경기도의회 기획재정위원회 의원, 최정석 경기도 기회전략담당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의 정원중 AI산업팀장, 이정희 사업화지원팀장, 허은영 라이프시맨틱스 R&D센터장 등이 참석했다.
박상현 의원은 “공공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이 가져올 새로운 패러다임을 토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며, “과거의 전자정부 도입이 행정 절차를 간편화한 것과 같이, 오늘날 우리는 인공지능 통해 더욱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변화를 목전에 두고 있다”라고 밝혔다.
해당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공공 영역에서 인공지능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김성하 AI혁신정책센터장은 경기도 소속직원(공공기관 포함)을 대상으로 진행한 생성형 AI 활용 실태 설문조사를 언급하며, “생성형 인공지능 사용 경험이 있는 329명의 직원 중, 194명(59%)이 업무에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답했다”라며, “한국은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수요가 높은 나라 중 하나로, 생활 속 다양한 분야에 인공지능을 적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많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토론을 맡은 최민 의원은 최근 경기도의회에서 진행한 도민인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경기도민의 83.1%가 행정·공공기관에 생성형 인공지능 도입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다”며, “무려 87.2%에 달하는 도민이 행정·공공기관에 도입된 인공지능을 활용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라고 발언했다.
또한, 최정석 기회전략담당관은 “생성형 인공지능은 도민들에게 최신 정보를 제공하고 경기도정 관련 정책을 소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전하며, 현재 경기도가 시행하고 있는 인공지능 관련 정책 사업을 소개했다.
정원중 AI산업팀장은 “대한민국에서 인공지능 관련 인력, 데이터, 반도체 등의 수요가 가장 많은 곳은 경기도이며, 실제로 대다수의 기업이 경기도에서 사업을 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더불어 “경제과학진흥원의 AI산업팀은 경기도에 인공지능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정희 산업화지원팀장은 “경기도에 위치한 중소기업들이 인공지능과 관련된 규제와 학습 데이터 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경기도가 인공지능 관련 논의를 하고 별도의 조직을 신설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기업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전했다.
허은영 R&D센터장은 “카카오 헬스케어의 초고도 인공지능 서비스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소아 질병 예측 및 실시간 상담 서비스가 인공지능을 통해 향상되었음을 경험한 바 있다”며, “경기도에서도 이와 같은 인공지능 서비스를 도입하여 도민을 위한 복지 서비스의 질을 높여야”한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토론회 참석자들은 인공지능 적극 도입에 있어 관련 산업 생태계 조성, 인력 고도화와 더불어 데이터 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경기도의 인공지능 기업들이 기술 실증을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끝으로 박상현 의원은 “경기도는 디지털 플랫폼의 개방, 일상화된 효율성, 민간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인프라와 생태계 제도문화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라고 밝히며, “이번 토론회가 경기도형 인공지능정부법을 발의를 위한 첫 단추이기에 점진적으로 인공지능의 순기능은 최대화, 역기능은 최소화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할 계획이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서는 염종현 경기도의회 의장, 남종섭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 지미연 경기도의회 기획재정위원회 위원장, 전 오병권 경기도 행정1부지사가 축사 인사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