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축산농가 방역인프라 개선을 위해 총 28억7천만원을 투자하여 닭․오리 100농가, 돼지 64농가, 소 291농가를 대상으로 맞춤형 방역시설 지원
○ CCTV, 소독시설, 방조망 등 다양한 방역시설이 설치되어 가축질병 유입을 차단하고 축산농가의 방역 수준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
![경기도청+전경(2)(38).jpg](http://greenct.kr/data/editor/2502/20250213123020_7acef897bc174e5ccc0e38f45c4e94f7_1hlv.jpg)
▲경기도청 전경(사진제공=경기도)
경기도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럼피스킨(LSD) 등 가축질병 병원체의 유입을 차단하고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2025년 방역인프라 설치 지원 사업'을 실시한다.
사업비는 총 28억7천만원으로, 국비와 지방비 각각 8억6천만원(30%), 자부담 11억5천만원(40%)이 투입된다. 도내 총 455농가에 방역인프라 개선을 위한 지원이 실시되며 가금 100농가(10억원), 돼지 64농가(6억5천만원), 소291농가(12억2천만원)이다.
지원 대상은 가축사육업 및 종축업 허가를 받은 축사로 축종별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선정된다. 가금 농가의 경우 AI 중점방역관리지구 내 농가, 돼지 농가는 ASF 중점방역관리지구 내 농가, 소 농가는 소규모 사육농가를 우선 선정하여 농가별로 맞춤형 방역시설을 지원한다.
지원 내용으로는 방역 감시용 CCTV, 차량 소독 및 세척 시설·장비 이외에 축종별로 가금 농가의 경우 터널식 소독시설, 방조망, 차량 진입 차단 장치 등을, 돼지 농가는 내부 울타리, 축산 폐기물 보관 시설 등을, 소 농가는 자동 목걸이, 병해충 방제 램프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
사업 추진은 1~2월 사업 대상농가를 선정해 설치업체·농가 간 계약 체결을 하고, 3월부터 시설물 착공 및 설치 등 본격 사업에 착수하며 12월에 사업현장 확인 및 최종 사업비 정산 순으로 진행된다.
이은경 경기도 동물방역위생과장은 “경기도는 가축질병 발생에 대비해 축산농가의 방역수준 증진을 위한 방역시설 개선에 지속적인 노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라며, “이번 사업을 통해 축산농가의 방역 수준이 한 단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며, 축산농가 여러분께서는 방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 참여해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2018년 이후 8년째 축산농가 방역시설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1,316농가 182억원 규모의 방역시설 개선 투자를 통해 축산농가의 가축질병 피해 최소화에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