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대기 및 토양 중 잔류성유기오염물질(다이옥신, PCB) 및 PAHs 실태조사
○ 대기 다이옥신 및 PCBs 농도 완만하게 지속 감소(최근 2년간 데이터 비교)
- 다이옥신 ’22년 0.024 pg I-TEQ/m3, 대기환경기준(0.6pg I-TEQ/m3) 대비 4% 수준
○ 토양 중 다이옥신 : 토양오염우려기준(1지역 160)의 2.2% 수준(3.493 pg-TEQ/g)
▲경기도청 전경(사진제공=경기도)
지난해 경기도 대기 중 다이옥신 농도가 2020년 대비 4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평택, 김포, 포천, 이천, 안산, 동두천 등 6곳에서 연간 총 6회에 걸쳐 대기 성분을 측정해 잔류성 오염물질(다이옥신 및 퓨란, PCBs) 및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를 검사했다.
그 결과 평균 다이옥신 농도는 0.024 pg I-TEQ/㎥으로, 2020년 0.041pg I-TEQ/㎥과 2021년 0.035pg I-TEQ/㎥ 대비 각각 41%, 3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옥신의 대기 환경기준은 0.6 pg I-TEQ/㎥다.
변압기 절연유로 사용되는 발암물질인 폴리염화비페닐(PCBs)도 평균 0.003pg WHO-TEQ/㎥으로, 최근 2년 평균 0.004pg WHO-TEQ/㎥ 대비 감소세를 유지했다.
이러한 감소 추세에 대해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꾸준한 다이옥신 배출원 관리 강화 및 불법 노천 소각 금지 등 적절한 환경관리정책의 결과로 추정했다.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경우 2020년 17.44ng/㎥, 2021년 10.90ng/㎥, 2022년 16.29ng/㎥로 증감을 반복했다. 이는 난방과 자동차 등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로 인한 농도 변화로, 연구원은 관리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도내 어린이놀이시설 등 토양 20지점을 대상으로 한 다이옥신 농도 검사도 진행한 결과, 평균 3.493 pg-TEQ/g으로 토양오염 우려기준(1 지역 160pg-TEQ/g)의 2.2%인 매우 낮은 수준의 오염도를 확인했다.
다이옥신은 무색, 무취의 맹독성 화학물질로, 주로 쓰레기 소각장에서 발생하는 환경호르몬이다. 기형아 출산 등의 원인으로 확인되며 1992년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유전 가능한 1급 발암물질로 규정됐다.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도 나프탈렌·안트라센·페난트렌 등과 같이 독성물질이 많은데, 벤조피렌 등은 발암물질로 알려졌다.
이번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및 PAHs 실태조사’는 2001년부터 추진하는 사업으로 세부 자료는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누리집 자료실’에서 열람할 수 있다.
박용배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장은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및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 모니터링은 다이옥신 등 유해 물질에 대한 불안감 해소뿐만 아니라 이를 토대로 배출원 등의 영향 여부를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올해는 추가로 도내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인접 주거지역의 잔류성 오염물질 대기 모니터링 사업을 강화해 도민 건강을 보호하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