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연구원, <코로나19 대유행 3년, 경기도 신용카드 매출 동향과 시사점> 발간
○ 심화될 경기둔화 대비 소상공인 매출 부진 상쇄할 경기도 차원의 지원 고려해야...
○ 정책 지원 대상 및 목표에 대한 명확한 설정과 목표에 부합하는 정책 설계 필요
▲코로나19 대유행 3년간 경기도 신용카드 매출액 추이(자료제공=경기도)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된 2020년 이후 3년간 경기도 신용카드 매출액은 매년 완만히 상승했으며 주유, 스포츠/문화/레저, 여행/교통 업종의 매출액 증가율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외여건 악화 및 세계적인 긴축정책으로 인해 2022년 하반기부터 시작되고 있는 글로벌 경기둔화가 2023년 상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경기연구원은 경기도도 심화될 경기둔화에 대비해 소상공인을 비롯한 취약계층 지원 중심의 정책역량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경기연구원은 2020년 1월 1일부터 2022년 10월 31일까지 경기도 소재 신용카드 오프라인 가맹점의 일자별 매출액 추정치 자료를 활용해 코로나19 대유행이 3년간 코로나19 확산으로 영향받은 경기도 소상공인들의 매출 변동을 종합적으로 점검한 ‘코로나19 대유행 3년, 경기도 신용카드 매출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연도별 경기도 신용카드 대출액 추이(자료제공=경기도)
우선 경기도 신용카드 매출액은 5차례의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에 큰 폭으로 하락했다가, 회복되는 패턴을 반복적으로 보여줬으며, 코로나19가 처음 확산한 2020년에 비해 경기도 신용카드 매출액은 매년 완만히 상승하는 추세를 보여준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월평균 매출액은 8조 3,065억 원으로 2020년 월평균 매출액 7조 7,016억 원보다 7.9%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주유, 스포츠/문화/레저, 여행/교통 업종의 2020년 대비 2022년 월평균 매출액 증가율이 높고, 가전/가구, 자동차, 의류/잡화 업종의 매출액 증가율이 낮게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이동량이 증가하고 소비심리가 살아나면서, 여행과 레저에 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이 카드 매출에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매출액 증가율이 낮은 업종은 비대면 생활양식 확산으로 인해 코로나19 특수를 누렸거나, 재난기본소득 등의 정부 지원정책의 매출 견인 효과를 크게 받은 업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훈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향후 유사한 충격으로 인해 경기도 신용카드 매출액이 감소할 때, 지역 소비를 증진할 목적으로 시행되는 정책은 소상공인의 매출 부진을 일부 상쇄시키므로 지자체 차원에서의 지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다만, 효과적인 정책 추진을 위해 정책 지원 대상 및 목표에 대한 명확한 설정과 목표에 부합하는 정책 설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